MENU

김동준 개인전 KIM DONG JUN

김동준 KIM DONG JUN

2022-10-20 ~ 2022-11-24

Gallery LVS
■ 전시개요
전시기간: 2022. 10. 20(thur) OPENING RECEPTION 5PM ~ 11.24(thur)
전 시 명: 달항아리 MOON JAR
참여 작가: 김동준 KIM DONG JUN 
장 소: Gallery LVS (갤러리 엘비스) 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27길 33 (신사동, 쟈스미빌딩 B1) Opening Hour 9:00 – 18:00 (Mon-Fri) 10:00-17:00 (Sat)
전시문의 : T. 02-3443-7475 E. info@gallerylvs.org
보도자료 : www.webhard.co.kr ID: espacesol PW: guest
내려받기용 “2022 10월 김동준 개인전” 폴더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갤러리LVS에서 10월 20일부터 11월 24일까지 김동준 개인전을 개최한다. 20여점의 달항아리로 이루어진 전시는 신사동 갤러리LVS 본관에서 15점을, 부암동 응운당(鷹雲堂)에서 5점을 특별전으로 선보인다.
 
달항아리는 가장 사랑받는 유물, 문화재를 넘어 창작자에게 시대를 뛰어넘는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이다. 백百은 시작과 끝, 하늘과 땅, 무와 유 다양한 물질과 개념을 설명한다. 백색을 들여다보면 아무것도 없는 듯하지만 모든 것을 가득 머금은 듯 여유로움과 품위가 느껴진다. 언제나 백의를 입어온 민족이 있었고, 백자를 일평생 계승하려고 하는 사람이 있었듯, 백색은 인간이 숭상하여 닮고자 한 궁극의 우상이다.
 
김동준의 달항아리는 시대와 인간을 어우르는 삶 그 자체를 조명한다. 유구한 역사 속에서 짧은 세기에 머물렀던 달항아리가 옛 것에 그치지 않고 현대 공예의 장르로 존재를 영위하는 모습은 마치 세대 간에 이어지는 굴곡지지만 빛나는 인생과 닮았다. 흙과 인간의 의지가 만나 탄생하여 시간이 흘러도 썩거나, 무無로 돌아가지 않고 시대를 묵묵히 견뎌온 백자호白磁壺와의 조우가 김동준을 계승과 창작의 길로 이끌었다. 오래된 달항아리가 품은 끝없는 시간을 들여다보면 기쁨과 슬픔이 함께 있어, 고통에 스러져도 가치 있고 행복한 삶을 이루고자 하는 인간의 염원이 보인다. 달항아리는 인간의 의지가 손 끝을 벗어나 만들어진 기물이자 고고하게 시대를 살아가는 생명력 있는 기물이다.
 
본 전시의 달항아리는 당 해 장작가마로 제작한 신작들로 이루어져 있다. Part 1 본관 전시는 신사동 갤러리 LVS에서 열리며, Part 2 특별전은 부암동 응운당에서 사전예약제로 한정 시간 운영한다. 부암동 응운당은 이원주 갤러리LVS 대표가 새롭게 선보이는 공간으로 산 속 작은 고택을 전시 공간으로 운영하여 첫 공개를 앞두고 있다.

(글, 갤러리LVS 이유진)

 
 Gallery LVS will hold a solo exhibition for Kim Dong Jun from October 20th to November 24th. The exhibition consists of 20 Moon Jars, featuring 15 pieces at the main Gallery LVS located in Sinsa-Dong, and also exhibit 5 pieces at ‘Eungundang 鷹雲堂’ in Buam-Dong as well.
 
Moon Jar has become something that is more than just a beloved heritage and that inspires artists beyond times beyond the most beloved cultural assets. The meaning of color white explains various materials and concepts such as beginning and the end, sky and earth and presence and absence. White looks like nothing, but there is a sense of fullness, relaxation, and elegance that embraces everything. Just as there have always been people who have wear white clothes, and there have been people who want to inherit white porcelain for life, white is the ultimate idol that human’s worship and want to resemble.
 
Kim Dong Jun’s moon jar highlights the life in which the times and humans are in harmony. The moon jars made for a short century in the long Korean history, which do not remain as relics, but exist as a genre of modern and contemporary craft, like a difficult but glorious life that is passed 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old cracked white jar that Kim Dong Jun first met was made with earth and human will, and it did not disappear over time and had endured the times silently. It aroused in him an amazing creativity and a desire for succession. An old moon jar holds years of joy and sorrow. It contains the human aspiration to continue to live a valuable and happy life even when suffering from pain. The moon jar is a noble object made with both hands full of human will, and continue to live for several decades.

The moon jars in this exhibition are all made by wood kilns this year. The Part 1 main exhibition will be held at Gallery LVS (Sinsa-Dong), and the Part 2 special exhibition will be held for a limited time at Eungungdang鷹雲堂 in Buam-Dong under a pre-booking system. Eungungdang is a newly introduced space by Judy Lee, CEO of Gallery LVS. It is a small old house deep in the mountains, operated as a gallery space, and is about to meet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Karen Lee, Gallery LVS)


인연이란 대체 무엇이기에 인간의 삶을 결정하는가.
개인의 힘으로 어찌해볼 수 없는 시대가 있다.
특히 장기간 이어지는 전쟁이나 국체가 바뀌는 격변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스스로의 삶을 결정하기가 어려워진다.
풍랑에 몸을 맞기고 항해를 하다보면 뜻밖의 어려움과 고난에 직면하기 십상이다.
나의 조부모의 세대 또한 그랬다.
그들은 마지막 조선인으로 태어나 일제 강점기시대를 살고 첫 번째 한국인이 되었다.
해방이 되자마자 남과 북으로 나뉘어 극렬한 이념갈등이 시작되었고 결국 전쟁이 일어났다.
동족상잔은 그자체로 비극이었다.
격변의 시대는 누군가에게는 기회가 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큰 고난을 경험해야한다.
나의 작업에 앞서 이제는 잊혀져가는 전세대의 삶을 서술하는 까닭은
결국 나의 삶이 그들과 무관하지 않으며 내 작업의 미적 근원이 내 조부모의 경험으로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나의 조상들은 멸문의 화를 피해 깊은 산골에 숨어들었다.
할머니 또한 해방이후 이념갈등으로 풍비박산이 난 집안의 화를 피해
같은 산골로 피신하였다가 조부를 만나 가정을 이루었다.
 
나의 유년시절의 첫 기억은 언제나 할머니의 품속이었다.
할머니는 기쁠 때나 슬플 때나 아리랑을 부르셨다.
할머니의 품에 안겨듣던 구슬픈 가락의 아리랑은 어린 나에게 형용할 수 없는
북받침과 이해할 수 없는 아름다움이었다.
오랫동안 그때의 울림을 이해하고 표현해 보려 노력해 보았지만 한 개인의 삶속에서
오랫동안 축적된 비애의 감정을 나로서는 충분히 해석해 내기가 어려웠다.
슬프지만 아름답다. 그 모순된 감동을 체득하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유년시절이후 나에게 그런 깊이 있는 감정을 느끼게 해주는 무언가를
한참이나 만날 수 없었다.
시간은 흘러 나의 20대의 어느 날 심심하고 무덤덤한 항아리를 만났다.
오랜 세월 사용하며 이도 나가고 이리치고 저리 치이며 금도가고 이런저런 상흔으로
스크래치도 많았지만 그런 것쯤 별것 아니라는 듯 무심히 깊고 무거운 자태로
내 앞에 마주한 그것은 조선의 백자항아리였다.
 
인간은 누구나 어머니의 자궁을 벗어나는 순간부터 고통의 시작이다.
에덴동산을 벗어나 탯줄을 자르고 나면 당장의 추위와 더위 질병과 굶주림이
모든 인간 앞에 평등히 기다린다.
살아간다. 그것만으로도 인간의 삶은 무겁다.
하지만 인간의 삶은 또한 가치 있고 아름답다.
누구에게나 삶에서 오는 고통과 신명도 함께 존재하지 않는가.
백자항아리가 오랜 세월로 인해 지니게 된 상흔의 아름다움은 인간이 살아가며
받은 고난과 상처를 담담히 아름다운으로 승화시킨 듯 이미 모든 것을 초탈한
구도자의 모습으로 나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슬프지만 아름답다. 오랫동안 해갈하지 못했던 감정의 갈증을 조선의 항아리가 채워주었다.
안료로 그림을 그리기위한 목적의 백자와는 달리 무문의 백자는 자연의 재료에서
얻을 수 있는 순수한 백색의 아름다움 그 자체에 집중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
백자는 그 자체로도 사치스럽고 화려하다. 내가 원하는 백자는 본연의 화려함을 숨기지만
품위를 잃지 않고 안으로는 스스로를 드러내지 않지만, 속이 깊고 생동하는 기물이다.
예전에는 기술적으로 완숙해지면 내가 원하는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작업이 흘러갈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보니 더욱 중요한 것은 인간의 의지였다.
물론 좋은 도자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그 정도의 노력은 기본이고 그 이상을 끌어내는 것은 그것을 행하는 인간의 의지다.
인간의 의지에는 그의 삶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결국 작업은 작가의 삶을 담는 것이다.
( 글, 김동준 )
 

What is a relationship that determines human life?
There are times when individuals can't help themselves.
Especially, for the people who live in a time of long-running wars or upheaval that changes the country,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decide on one's own life.
It is easy to face unexpected difficulties and hardships when you sail against the wind and waves.
So did my grandparents' generation.
They were born as the last Joseon Dynasty people, liv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became the first Koreans.

As soon as they were liberated, it was divided into the South and the North, and a fierce ideological conflict began which eventually led to war.
The fratricidal conflict was a tragedy in itself.
An era of upheaval is an opportunity for someone, but most people have to experience great hardships.
The reason why I'm describing the life of a generation that is now forgotten before my work is because after all, my life is not irrelevant to them, and the aesthetic source of my work starts from my grandparents' experience.

My ancestors hid in the deep mountains to escape the wrath of extinction.
Grandmother also fled to the same mountain village and met my grandfather and formed a family after fleeing to avoid the anger of her family, which was shattered by ideological conflicts after the liberation.
 
My first childhood memory was always in my grandmother's arms.
My grandmother sang Arirang whenever she was happy or sad.
Arirang, the sad melody that I heard in my grandmother's arms, was an incomprehensible emotion and an indescribable beauty to me as a child.

I've tried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 echoes of that time for a while, but it was difficult for me to fully interpret the feelings of sorrow accumulated for a long time in the individual's life.
It's sad but beautiful. It takes a lot of time to learn the contradictory impression.
I couldn’t find anything that made me feel such a deep emotion after childhood for a long time.
Time passed and on one random day in my 20s, I found a profound jar.
It had been used for decades with a lot of scratches and cracks, but as if they were nothing, it stood there sturdy and solid; it was the white porcelain jar of the Joseon Dynasty that faced me.
 
Agony starts from the moment they leave their mother's womb.
Once you've cut the umbilical cord out of the Garden of Eden, cold, heat, disease, and hunger equally await all human beings.
We live. That alone is the weight of human life.
But human life is also valuable and beautiful.
Everyone suffers yet enjoys life.
The beauty of the scars that white porcelain jars have had over the years has deeply resonated with me as if they had calmly sublimated the hardships and wounds received in life into something beautiful.
It's sad but beautiful. The Joseon Dynasty's white porcelain jar filled my thirst for emotions that had not been released for a long time.
Unlike white porcelain pigments made for painting, this white porcelain is made from natural materials, which helps to focus on the pure white beauty itself.
White porcelain itself is extravagant and fancy. The white porcelain hides its natural splendor, yet
It does not lose its dignity and reveal itself; it is a deep and lively object.
In the past, I thought that if I get technically mature, the work will flow in the direction I want. However, what was more important was the human will.
Of course, it takes a lot of time and a lot of effort to make good ceramic works.
But that level of effort is fundamental and it depends on the human’s willpower to bring out more than that.

One’s life is fully incorporated into the will of the human being.
After all, the work is to capture the artist's life.
Kim Dong Jun
Translated by Leah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