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EMENT
쪽으로 수십 번 물들인 섬유조직의 육면체. 그 안에는 더 작은 육면체 단위들이 이어져 건축적인 동시에 숨이 붙어있는 것만 같은 오묘하게 유기적인 구조물들을 이루고 있다. 재료는 아바카섬유 (마닐라 마)로 공기와 빛이 넉넉히 투과되는 소재이다. 자연의 4대 원소 모두 거치지 않은 과정이 없을 정도로 작품은 공정 방법이나 취할 수 있는 자태 모두 접근이 다방면으로 광활한 작품이다. 작가는 인간 신체를 육면체에 비유하고 그 속을 비움으로써 동양철학의 맥락과 선(禪)의 마음가짐을 담았다.
섬유의 유연성과 예민함을 바탕으로 정확하지만 우연성이 보필하는 결과물에 달성하기까지는 매우 까다롭고 고달픈 과정이 연루된다. 염색, 다림질, 재단, 봉재가 공정의 큰 전개이지만 그 안 더욱더 세분화된 단계들과 작가의 노력은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그 정직한 노동은 작가의 물리적 신체가 작품의 일부가 되는 과정이며, 더 나아가 오직 여성의 손을 통해 전해지던 바느질, 곧 ‘의(衣)’의 역사를 거슬러 작가 본인의 유전자의 뿌리를 재현하고 이어나가는 것이다. 소단위의 입방체들이 마주이루는 작품의 ‘결’ 또한 역사의 나이테를 가리키고 있는 것만 같다. 이로써 장연순의 작업은 인간이 시간을 늘리고 공간을 거슬러가며 정체성을 탐구하는 과정, 이 모든 것이 ‘일체’되는 순간이다.
이번 개인전에서 처음 선보이는 신작은 기존 육면체의 건축적인 제스처들 위에 ‘빛’에 의해 겉으로 드러나는 내부에 대해 이야기 한다. 섬유 육면체 표면 위로 어렴풋이 드러나는 빛의 파편들은 태초에 빛이 가장 먼저 있었듯이 삼라만상의 근원으로 돌아가려는 수행적인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를 더 서술적으로 표현하는 추상 드로잉 18점이 전시될 예정이다.
장연순 작가는 2008년 국립현대미술관의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어 한국 현대 섬유공예를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으로, 최근 2018 년도 로에베파운데이션 주최의 로에베 공예상 파이널리스트에 선정된바 있다. 영국 Victoria and Albert 뮤지엄에 국내작가 최초로 소장되었으며 주요 전시로는 파리 장식미술관 ‘Korea Now!’, 밀라노 트리엔날레 등이 있다.
Within the fiber hexahedrons dyed with indigo for dozens of times, there are smaller hexahedrons composing the works’ architectural and curiously organic structure almost as if it has its own breath of life. The main material is abaca fiber, a matter plenty of room for air and light to pass through. Chang’s works take wide and multi-dimensional approaches in the artist’s production method and expressive form which encompass all four elements of nature. Hexahedrons symbolize the human body, and Chang has imbedded Eastern philosophy’s context and Zen’s mind by emptying the hexahedrons.
There involves extremely fastidious and rigorous procedures until the finished artwork, which is exact with the assistance of serendipity based on fabric’s flexibility and acuteness. The main processes in large consist of dying, ironing, cutting and sewing, but every sub-processes in between and the artist’s exertion are indescribable in words. Her honest labor is the process of the artist’s physical self, becoming a part of the work, as well as reproducing and succeeding her own DNA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clothing or textile, a lineage of females in Korea. The grains created by the subunits of cuboids seem to be gesturing at the growth rings of history. Hence Yeonsoon Chang’s works are the moment when human extending time, going against space, exploring identity meet and become one.
This solo exhibition introduces a series of new works, which tells a story of the inner body with ‘light’ on the surface of the fiber hexahedrons. Fragments of light hazily visible on the surface of the hexahedrons show an attitude of asceticism tracing back to the origin as light was in the beginning of all. In addition, 18 abstract drawing works will be exhibited that further narrate the exploration of mind and body.
Yeonsoon Chang is the leading contemporary textile artist in Korea, and she had been selected as the Korea’s Artist of the Year by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2008. Recently, her works were collected by Victoria and Albert Museum, UK, the first Korean artist’s work to be collected by the museum. Some recent notable exhibitions include ‘Korea Now!’ at Musee des Art Decoratifs, Paris and Milano Triennale.
BIOGRAPHY
1980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생활미술과 졸업
1973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생활미술과 졸업
Collection
LOEWE Foundation, 스페인
Victoria & Albert Museum, 런던, 영국
서울공예박물관, 한국
국립현대미술관, 한국
Honolulu Academy of Arts, 하와이, 미국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시카고, 미국
Award
2024 올해의 공예상,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18 LOEWE CRAFT PRIZE Finalist
2015 옥조근정훈장 수상
2011 이화여자대학교 우수강의교수 수상
2010 WCC-유럽 유니크 베스트 9. 칼수루헤. 독일
2008 올해의 작가 2008, 국립현대미술관
2007 목양공예상
2004 화이버아트 인터내셔날 2004, 미국
1994 한국공예가협회상
1986 1회 대한민국 공예대전 특선
1984 3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특선
1983 2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입선
1982 1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특선
1981,77,76 국전 입선
Solo Exhibition
Group Exhibition
Projects